추천테마여행
[0]
조회한 데이터가 없습니다.
관관명소
[29]
- 삼사해상공원
-
동해의 맑은 정기가 서린 삼사해상공원은 청정바다를 한 눈에 바라볼수 있을뿐 아니라 주위의 경관이 아름다워 주말은 물론 평일에도 가족단위 행락인들이 줄을 잇는다. 이북 5도민의 망향의 설움을 달래기 위해 95년도에 세워진망향탑과 경북개도 100주년 기념사업인 경북대종, 공연장과 폭포 기타 편의시설이 설치되어 있다. 이곳에서 1997년 1월 1일 처음 개최한 "해맞이축제"는 신년의 소망을 기원하는 사람들로 대성황을 이루었고, 이 행사는 매년 열리고 있으며 이어서 또 하나의 문화축제로 자리매김 되고 있다.
5월부터 10월까지 매주 토요일 오후에는 지역음악동호회가 참여하는 관광명소 주말공연이 열려 삼사해상공원을 찾는 관광객에게 즐거움을 더해주고 있다.
면적
430,000m2
시설현황
주차시설 : 500여대
- 공원시설 : 천하제일화문석, 인공폭포, 경북대종, 망향탑, 야외공연장, 어촌민속전시관
어촌민속전시관
설치배경 : 영덕대게와 어촌의 역사를 한눈에 볼 수 있는 어업의 산교육장으로 경북도내에서는 처음으로 만들어졌다.
- 시설현황 : 지하1층, 지상3층(부지 8,250m2)
- 전시내용 : 전통 어구, 어선 제작과정, 해저지형, 항구체험, 영덕어촌 100년사
- 개관일자 : 2005년 12월 9일
- 입 장 료 : 성인 1,500원, 학생 800원
경북대종
설치배경 : 경북개도 100주년을 맞이하여 민족의 염원인 조국통일과 민족대화합을 기원하고 21C 환태평양시대에 세계로 뻗어가는 새경북 미래100주년의 번영을 축원하는 300만 도민의 큰뜻을 담아 새로운 천년의 탄생을 알리는 상징적인 힘을 부여하기 위하여 제작되었다.
- 완공일자 : 1998년 1월 5일
- 시설현황 : [부지] 2,410m2, [건물] 66m2(열십자형 팔자와가) [대종지름] 2.5m, [높이] 4.2m, [둘레] 7.84m, [무게] 약29t [모양] 신라 성덕대왕 신종(일명 에밀레종) 본뜸
- 제작취지 : 용두는 용을 형상화, 유곽은 네군데 유두36개(아홉개씩 사계절 1년을 의미), 유곽 밑 대금부는 문화예술의 고장 경상북도를 상징하는 비천상과 풍요로운 결실의 표상인 사과를 든 천인상을 새겼고, 상대 및 하대에는 통일신라시대 대표적인 범종(보상당초문)의 문양을 조각. 하대(공양상)종각에는 도목인 느티나무, 도화인 백일홍, 도조 인 외가리와 협찬사인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전경을 새겨 경북도민 모두의 염원을 담고 있음을 상징케 함
- 관련행사 : 매년 1월 1일 열리는 해맞이축제와 연계하여 제야에 33번 타종 함으로써 조국통일의 염원과 세계로 뻗어가는 경북도민의 웅지를 다지는 계기로 삼고 있다.
-
http://tour.yd.go.kr/kor/sight/sightView.aspx?idx=254
- 영덕해양체험장
-
경정리 동명의 유래는 긴 모래불이 있으므로 뱃불 또는 경정이라 하였습니다. 경정 2리인 수구너미 마을은 11세기 중기(1060년경)에 영해 부사(寧海府使)가 마을을 순시하던 중 말을 타고 재를 넘으면서 이 마을의 형국을 보고 우마차(牛馬車) 길마 같이 생겼다고 하여 우차의 차(車)와 넘을 유(踰)자를 따서 차유(車踰)라 명명하였다 하며, 마을의 형성은 어느 때 누구에 의해서 되었는지 미상입니다.
조선시대에는 영해부(寧海府) 남면(南面) 지역이었는데 갑오개혁(甲午改革) 뒤인 1895년(高宗 32년) 5월 26일 칙령(勅令) 제98호로 지방 관제 개정을 할 때 영해부가 영해군(寧海郡)이 되었는데, 이때 경정리는 영해군에 속했으며, 1914년 3월 1일 일제(日帝)는 부령(府令) 제111로 행정구역을 자의로 폐합할 때 오매동·차유동의 일부 지역을 병합하여 경정동이라 하고 영덕군 축산면에 편입되었으며, 그 뒤 1988년 5월 1일 군조례(郡條例) 제972호로 동(洞)을 리(里)로 개칭할 때 경정동은 경정리가 되어 오늘에 이르며, 현재 행정구역상 경정 1,2,3리로 분동되어 있습니다.
마 쪽 : 뱃불 남쪽에 있는 마을 수구너미(車踰洞) : 달부고개 너머에 있는 마을 오매(烏梅) : 뱃불 남쪽에 있는 마을
기타마을정보 - 가구수(어가) : 87가구 90명 (63가구) - 주요시설물 : 팔각정, 산책로, 민속체험가옥, 공동 화장실, 샤워장, 야외 바베큐 - 주요 특산물 : 대게(원조), 돌미역, 전복, 해삼, 멍게, 오징어
체험행사안내 - 공동어장 바다체험 - 대게잡이 체험 - 미역채취 및 건조과정 체험 - 오징어잡이체험 - 고동따개비 체험 - 통발체험 - 체험집 체험 - 맨손잡이체험 - 풍등체험
잡이체험 - 고동따개비 체험 - 통발체험 - 체험집 체험 - 맨손잡이체험 - 풍등체험
-
http://tour.yd.go.kr/kor/sight/sightView.aspx?idx=239
축제·공연·행사
[15]
- 2023 영덕송이장터
-
□ 축제개요
❍ 운영기간: 2023.9.25.(월) ~ 10.15.(일)[21일간]
- 한마당 : 2023. 10. 6.(금) ~ 10. 8.(일) [3일간]
- 개막행사 : 2023. 10. 6.(금) 16:30
※ 연계행사 : 영덕문화예술제 14:00(영덕국민체육센터)/월월이청청발표회 15:00(군민운동장)
❍ 장 소: 군민운동장 영덕송이특설판매장 / 영해휴게소
□ 행사 일정
행사 일정
날 짜 |
시 간 |
일 정 |
상 설 |
9/25(월)~
10/15(일) |
10:00~18:00 |
송이 상설 판매장 운영 |
군민운동장
영해휴게소
|
10/6(금) |
10:00~12:00 |
시설리허설 |
송이판매장
먹거리부스
송이캐릭터체험
프리마켓
|
13:00~14:00 |
개막리허설 |
14:00~15:00 |
영덕예술제개막식(국민체육센터) |
15:00~16:00 |
영덕 월월이청청 정기발표회(군민운동장) |
16:00~16:30 |
송이판매장 투어 |
16:30~17:40 |
개막식(식전공연, 축하메시지, 캐릭터쇼, 초청공연) |
18:00~20:00 |
송이판매장 시식회 |
10/7(토) |
11:00~12:00 |
즉석경매 및 거리공연
(관람객을 위한 경품이벤트)
|
송이판매장
먹거리부스
송이캐릭터체험
프리마켓
|
12:00~14:00 |
영덕송이캐릭터쇼 / 초청예술공연 |
14:00~16:00 |
“대게좋은 음악회”
-생활문화동아리한마당-
한국대중예술연합회 영덕지부
|
16:00~18:00 |
“대게좋은 음악회”
-초청가수공연-
한국대중예술연합회 영덕지부
|
10/8(일) |
11:00~12:00 |
즉석경매 및 영덕송이캐릭터쇼
(관람객을 위한 경품이벤트) |
송이판매장
먹거리부스
송이캐릭터체험
프리마켓
|
12:00~14:00 |
저글링거리예술공연 / 영덕송이캐릭터쇼 |
14:00~18:00 |
영덕생활문화예술제 |
행사장 배치도 (영덕군민운동장)
-
http://tour.yd.go.kr/kor/festival/festivalView.aspx?idx=3537
- 영덕 축산항 물가자미축제
-
□ 축제개요
❍ 기간 : 2023.04.28.(금) ~ 04.30.(일)
❍ 장소 : 축산항 일원
□ 축제 주요내용
【첫째날 : 2023. 04. 28. / 금요일】 전야제 행사
축제 주요행사
행 사 명 |
시 간 |
장 소 |
지역 풍물단 풍물놀이 |
16:30~17:00 |
축제장, 메인무대 |
MC 레크레이션 |
17:00~17:30 |
메인무대 |
깜짝경매 |
18:20~19:00 |
〃 |
전야제
공연 |
풍어기원 다원예술공연 |
18:00~19:00 |
〃 |
축하공연(신인가수 2명) |
19:00~ |
〃 |
〃 |
【둘째날 : 2023. 04. 29. / 토요일】 개막행사 및 공연
축제 주요행사
행 사 명 |
시 간 |
장 소 |
쿵치타치 밴드 공연 |
10:30~11:30 |
메인무대 |
맨손 물고기잡기 |
11:30~12:00 |
|
물가자미요리왕 선발대회 |
12:00~13:00 |
|
나도가수 즉석 도전 100곡 및 가수왕 경연(예선) |
13:00~14:00 |
〃 |
O․X 퀴즈 서바이블(주제 : 영덕, 축산항, 물가자미 등) |
14:00~14:30 |
〃 |
맨손 물고기잡기 |
14:30~15:00 |
〃 |
깜짝 경매 |
15:00~15:30 |
〃 |
지역문화예술인공연 |
15:30~17:20 |
〃 |
가자미낚시왕 시상 |
17:20~17:30 |
〃 |
개막제 퍼레이드(바투카다) |
17:30~18:00 |
축제장입구~메인무대 |
개막식 |
18:00~18:20 |
〃 |
연예인 축하공연 |
19:00~20:30 |
〃 |
해상불꽃쇼 |
20:30~20:40 |
축산항 |
DJ라라 댄스파티 |
21:00~21:50 |
메인무대 |
【셋째날 : 2023. 04. 30. / 일요일】 체험 및 참여 행사
축제 주요행사
행 사 명 |
시 간 |
장 소 |
블루로드 걷기대회 |
10:30~11:30 |
무대 및 죽도산 |
맨손물고기잡기 |
11:00~11:30 |
메인무대 |
O․X 퀴즈 서바이블(주제 : 영덕, 축산항, 물가자미 등) |
11:30~12:00 |
〃 |
물가자미요리왕 선발대회 |
12:00~13:00 |
〃 |
영덕연예예술인협회 공연 |
13:00~14:00 |
〃 |
맨손물고기잡기 |
14:00~14:30 |
〃 |
깜짝 경매 |
14:30~15:00 |
〃 |
영덕연예예술인협회 공연 |
15:00~15:50 |
|
가자미 낚시왕 시상 |
15:50~16:00 |
〃 |
가수왕 경연(본선) |
16:00~17:00 |
〃 |
축하공연(지역출신가수1인,신인가수2인) |
17:00~18:00 |
〃 |
폐 회 |
17:30~18:00 |
〃 |
체험・참여 행사
축제 주요행사
행 사 명 |
시 간 |
장 소 |
선상 가자미 낚시대회 |
10:00~12:00, 13:00~15:00 |
토,일 |
축산항 해상0.5해리 이내 |
어선 승선 체험 |
13:00~15:00 |
토,일 |
행사장내 |
키즈존(kids zone) 운영 |
12:00~17:00 |
토,일 |
〃 |
맨손물고기잡기 체험 |
토:11:30/14:30, 일:11:00/14:00 |
토,일 |
〃 |
깜짝경매 |
수 시 |
금,토,일 |
메인무대 |
물가자미 요리왕 경연 및 시식 |
12:00~13:00 |
토,일 |
〃 |
축제 가수왕 경연 |
예선(토)13:00~14:00, 본선(일)16:10~17:00 |
토,일 |
〃 |
O·X퀴즈 서바이벌(주제 : 영덕,축산항,물가자미 등) |
토:14:00~14:30, 일:11:30~12:00 |
토,일 |
〃 |
부대행사
축제 주요행사
행 사 명 |
시 간 |
장 소 |
풍어기원 용왕제 |
11:00~ |
금,토,일 |
행사장내 |
블루로드 걷기대회 |
10:30~11:30 |
일 |
죽도산둘레길 |
어선 해상 퍼레이드 |
15:00~15:30 |
토 |
죽도산 해상 |
어촌계대항 노젓기 대회 |
10:00~ |
토 |
축산항 |
물가자미 요리 무료시식 코너 운영 |
수 시 |
금,토,일 |
행사장내 |
물가자미 핑거푸드존 운영(새로운 물가자미요리 시식 및 판매) |
상 시 |
금,토,일 |
〃 |
와인 시음(와인포차 : 와인+물가자미핑거푸드요리) |
10:00~21:00 |
금,토,일 |
〃 |
축제장 배치도
블루로드 건강걷기 코스
포스터
리후렛
-
http://tour.yd.go.kr/kor/festival/festivalView.aspx?idx=3181
역사문화
[89]
- 영덕 만괴헌
-
1988년 9월 23일 경상북도 문화재자료 제209호로 지정되었다. 창건 연대는 확실히 알 수 없으며 원래 정침 9칸, 외당 3칸, 사당 1칸의 규모였으나 1843년(현종9)에 좌의정 제정공 신효창(申孝昌 1364-1440) 선생의 16세손 신재수(申在洙 1798-1855)공이 와가 17칸, 초가 5칸의 규모로 개조하고 사당은 철거하였다. 그 뒤 그의 손자 신의영(申義泳 1842-1905)공이 다시 확장?개축하였다. 현 건물은 날아가는 봉새의 오른쪽 날개 형상을 한 뒷산(飛蓋山)을 배경으로 하고 고래산(鯨山)을 안산(案山)으로 한 넓은 대지위에 안채, 사랑채, 대문채, 좌우행랑채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지붕은 맞배지붕인데 안채의 양 측면에 눈썹지붕형으로 합각부가 이루어져 있고 좌우행랑채는 팔작지붕 건조된 기와집이다. 전체 구조는 ㅁ자형 평면에 양쪽으로 1칸씩 날개를 달았으며 전면 좌측에는 사랑채를 설치하였고 우측모서리 부근에는 방앗간을 별설하였으며 또한 대문 칸 앞에는 가리게 담장을 설치하여 외부에서 정침 내부가 보이지 않도록 하였다. 이 건물은 조선 후기 가옥 변천상을 살필 수 있는 주거 건물로서 특히 안방 뒷부분의 도장방과 상방 전면의 툇간 등의 구성은 이 지방의 ㅁ자형 주택의 전형을 잘 보존하고 있으며 전체적으로 사랑채 부분의 독립성이 돋보이는 배치 구도를 지니고 있다. 만괴헌(晩槐軒)이라는 당호는, 1816(병자)-1817(정축)년 두 해의 거듭된 흉년에 많은 기민을 구휼한 공로로 1837년 조정으로부터 가의부위(嘉義副尉)를 특사 받았으며, 1838년에는 영해향교의 태화루(太和樓)와 영해읍 성문을 개수하여 향내의 교육 진흥과 읍치(邑治)의 방호에 크게 기여하였고 또한 양로소를 설치하여 어른들의 친목을 도모하고 후진들에게 경로사상을 고취하여 미풍양속을 고양시키는데 노력을 경주하여 향중(鄕中)으로부터 많은 칭송을 받은 신재수 공의 아호(雅號)이다.
-
http://tour.yd.go.kr/kor/history/historyView.aspx?idx=314
- 돈수재
-
영덕에 있는 수안 김씨의 사당이다. 조선 중기 유학자로 어려운 사람을 많이 도왔던 김덕유(1694∼1767)를 추모하는 뜻에서 순조 4년(1804) 후손들이 세웠다. 구조는 영덕지방에서 흔히 볼 수 있는 ㅁ자형 주택인데 가운데 문을 중심으로 왼쪽에 사랑채를 오른쪽에는 문간방과 아랫방을 두었다. 뒤쪽에는 사람이 생활하지는 않고 제사를 지내는 따위의 일을 보는 방이 있다. 1980년에 보수하여 현재 보존상태는 양호한 편이고 앞면이 6칸으로 되어 있어 앞에서 보면 제법 당당한 모습을 하고 있다.
-
http://tour.yd.go.kr/kor/history/historyView.aspx?idx=316